맨위로가기

스타디오 델레 알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1990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이탈리아 토리노에 위치했던 다목적 경기장이었다. 1988년에 착공하여 1990년에 개장했으며, 유벤투스와 토리노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육상 트랙으로 인해 시야가 좋지 않고, 관중석이 텅 비는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았으며, 유벤투스는 2002년에 경기장을 매입했다. 2006년에 폐장되었으며, 유벤투스는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유벤투스 스타디움을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없어진 건축물 - 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
    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는 파시스트 정권 시기에 건설된 로마의 경기장으로, 193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을 포함한 3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이탈리아의 우승 이후 1953년 철거되어 현재는 스타디오 플라미니오가 위치해 있다.
  • 토리노 FC - 수페르가의 비극
    수페르가의 비극은 1949년 AC 토리노 선수단을 태운 항공기가 토리노 수페르가 언덕에 추락하여 31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세리에 A 5연패를 노리던 최강팀의 비극적인 종말과 이탈리아 축구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 토리노 FC -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는 이탈리아 토리노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과거 스타디오 무솔리니, 스타디오 코무날레로 불리다 2006년 재건축 후 현재 명칭을 얻었으며, 유벤투스와 토리노 FC의 홈 경기장, 국제 행사 개최지, 현재는 토리노 FC 홈 경기장 및 문화 행사 장소로 사용된다.
  • 토리노의 건축물 - 토리노 대학교
    토리노 대학교는 1404년 설립되어 잠시 폐교 후 재건, 개혁을 거쳐 이탈리아 실증주의 중심지이자 유럽 대학의 모델이 되었으며, 반파시즘 운동의 중심지 역할과 국제적인 연구 협력을 통해 명문 대학으로 자리매김하여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토리노의 건축물 - 몰레 안토넬리아나
    몰레 안토넬리아나는 이탈리아 토리노에 있는 건축물로, 원래 시나고그로 계획되었으나 설계 변경과 예산 초과로 유대교 공동체가 포기하고 토리노 시가 인수하여 완공했으며, 현재 국립 영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이탈리아 유로 동전 도안으로도 활용된다.
스타디오 델레 알피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구글 지도
기본 정보
경기장 명칭스타디오 델레 알피
로마자 표기Stadio delle Alpi
별칭없음
위치이탈리아 피에몬테주 토리노
좌표좌표: 45°06′34.42″N 7°38′28.54″E
역사
기공1988년 3월
개장1990년 5월 31일
폐장2006년
철거2009년 3월
소유 및 운영
소유주토리노 시 (1990년-2002년)
유벤투스 (2002년-2009년)
운영자정보 없음
건축 및 디자인
건축가오스트리아 Studio Hutter
건설 비용2억 유로
건설사Gruppo Acqua Marcia
경기장 정보
그라운드천연잔디
피치 크기105 x 68m
수용 인원69,000명
사용
사용 팀유벤투스 (1990년–2006년)
토리노 (1990년–2006년)
주요 대회1990 FIFA 월드컵
이미지
1990년의 스타디오 델레 알피
1990년의 경기장 모습

2. 역사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건설되어 1990년 5월 31일에 개장했다.[1] 개장 경기로는 유벤투스토리노 FC 연합팀과 FC 포르투의 친선 경기가 열렸다.[1] 건설은 1988년 6월에 시작되어 2년 만에 완공되었으며, 토리노 시의회가 비용을 부담했다.[1][8] 완공 후, 기존의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가 폐장됨에 따라 유벤투스토리노 FC의 새로운 홈 구장이 되었다.[1]

본래 축구 경기 외에 육상 경기도 개최할 수 있도록 종합 운동장으로 설계되어 경기장 주변에 육상 트랙이 설치되었으나, 실제 주요 육상 대회는 열리지 않았다.[1] 이 육상 트랙은 관중석과 경기장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여 관람 시야를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고, 이 외에도 교통 불편, 낮은 관중 동원력, 좋지 않은 잔디 상태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었다.[12][5]

이러한 문제점과 높은 임차료 등으로 인해 유벤투스는 1994년부터 전용 구장 건설을 모색하기 시작했으며,[1] 1994-95년 UEFA컵 준결승 및 결승 홈 경기를 밀라노산 시로에서 치르기도 했다.[1] 오랜 협상 끝에 유벤투스는 2002년 6월, 토리노 시의회로부터 델레 알피 경기장과 주변 부지를 2500만유로에 매입하여 99년간의 소유권을 확보했다.[8][1]

유벤투스는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축구 전용 경기장인 유벤투스 스타디움 건설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2006년 칼초폴리 스캔들과 UEFA 유로 2012 유치 실패 등으로 인해 자금 문제로 잠시 지연되었으나,[1] 2008년 3월 18일, 약 1억유로를 투입하여 신 구장 건설을 최종 결정했다.[1] 신 구장은 2011-12 시즌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편, 토리노 FC는 2003년 AC 밀란과의 경기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로 인해 한동안 홈 경기 개최 자격을 박탈당하기도 했다.[11][4]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2006년 6월 11일, 토리노 FC만토바의 세리에 B 2005-06 승격 플레이오프 경기를 마지막으로 공식 폐장되었다.[1] 유벤투스는 신 구장 완공 전까지 과거 홈 구장이었던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를 임시로 사용했다.[1]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88-1990)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토리노 시의회의 주도로 건설되었다. 건설은 1988년 6월에 시작되었으며, 기성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공법 덕분에 2년 만에 완공될 수 있었다.[1][8] 완공 이후, 토리노 시의회는 기존의 올림픽 경기장이 폐장하면서 유벤투스토리노 FC 두 구단에게 이 경기장을 새로운 홈 구장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

이 경기장은 처음부터 축구 경기뿐만 아니라 육상 경기도 치를 수 있는 종합 운동장으로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축구 경기장 주변으로 육상 트랙이 설치되었으나, 워밍업을 위한 보조 트랙이 부족하여 실제 주요 육상 대회가 개최된 적은 없었다.[1] (일각에서는 육상 트랙 설치 시 국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형식적으로 건설했다는 설도 제기된다.)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1990년 5월 31일에 공식적으로 개장했다. 개장 기념 경기에서는 유벤투스토리노 FC의 선수들로 구성된 연합팀이 포르투를 상대로 4-3 승리를 거두었다.[1]

2. 2. 개장 및 운영 (1990-2006)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조립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1988년 6월 착공 후 2년 만에 완공되었다. 토리노 시의회가 건설 비용을 부담했으며, 기존의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가 폐장하면서 유벤투스토리노 FC가 이 경기장을 새로운 홈 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본래 축구 경기 외에 육상 경기도 개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경기장 주변에 육상 트랙이 설치되었으나, 워밍업 트랙 부족 등의 문제로 실제 주요 육상 대회는 열린 적이 없었다. 일각에서는 육상 트랙 건설이 국가 보조금을 받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설도 제기되었다.

경기장은 1990년 5월 31일, 유벤투스토리노 FC 연합팀이 FC 포르투를 4-3으로 꺾은 경기를 통해 공식 개장했다. 그러나 개장 이후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우선 육상 트랙 때문에 관중석과 경기장 사이의 거리가 멀어 시야 확보가 어려웠고, 경기장 지붕 구조로 인해 햇볕이 잘 들지 않아 잔디 상태가 좋지 않았다. 또한 피치 배수 문제와 잦은 안개 발생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경기장의 위치가 교외에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주변 치안이 좋지 않다는 점, 그리고 약 7만 석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에 비해 실제 관중 동원력은 부족하여 평일 경기나 코파 이탈리아 경기에서는 관중석이 텅 비는 경우가 잦았다.

높은 임대료 문제까지 겹치면서 홈 구단들과 토리노 시의회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유벤투스는 1994년부터 구단 소유의 전용 구장 건설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1994-95 시즌 UEFA컵 준결승전과 결승전 홈 경기를 델레 알피 대신 약 8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밀라노산 시로에서 치르기도 했다. 결국 유벤투스는 오랜 협상 끝에 2002년 6월, 토리노 시의회로부터 약 2500만유로에 델레 알피 경기장과 주변 부지의 소유권을 99년간 확보했다.[8][1]

한편, 토리노 FC는 2003년 2월 22일 AC 밀란과의 홈 경기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로 인해 2003년 3월 9일부터 6월 30일까지 세리에 A 홈 경기 개최 자격을 박탈당하는 징계를 받기도 했다.[11][4]

유벤투스는 경기장 소유권 확보 이후 기존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축구 전용 경기장(유벤투스 스타디움)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2006년 칼초폴리UEFA 유로 2012 유치 실패 등이 겹치며 자금 문제로 계획이 지연되었다.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2006년 6월 11일, 토리노 FC만토바 간의 세리에 B 2005-06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 2차전(토리노 3-1 승)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폐장되었다. 이 경기에는 58,56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이후 유벤투스는 신 구장 완공 전까지 과거 홈 구장이었던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를 임시로 사용했다.

2. 3.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

(4-3 )잉글랜드준결승


2. 4. 문제점 및 비판

델레 알피는 설계 및 운영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경기 관람 시야였다. 본래 육상 경기도 개최할 목적으로 경기장 주변에 육상 트랙이 설치되었으나, 이로 인해 관중석과 필드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져 관람객의 시야를 방해했다. 특히 아래층 관중석의 경우, 광고판 위치 때문에 시야가 더욱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12][5] 또한, 연습 주로 부족 등의 이유로 실제 주요 육상 대회는 한 번도 개최된 적이 없으며, 일각에서는 국가 보조금을 받기 위해 형식적으로 트랙을 설치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경기장의 위치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시 외곽에 자리 잡아 팬들의 접근성이 떨어졌고, 주변 지역의 치안 문제도 거론되었다. 경기장 구조 자체도 관중을 날씨 변화로부터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등[5] 여러 결함이 지적되었다.

피치 컨디션 역시 좋지 않았다. 배수 시설이 미흡했고, 짙은 안개가 자주 발생했으며, 지붕 구조 때문에 햇볕이 잘 들지 않아 잔디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경기장의 잔디 상태는 항상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은 낮은 관중 동원력으로 이어졌다. 세계적인 명문 클럽인 유벤투스가 홈 구장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이 매진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특히 평일 경기나 코파 이탈리아 경기에서는 관중석이 텅 비는 경우도 잦았다. 예를 들어 2005-06 시즌 유벤투스의 평균 관중 수는 약 26,000명 수준이었고,[13][6]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삼프도리아와의 홈 경기에서는 단 237명의 관중만이 입장하는 극단적인 사례도 기록되었다.[14][7]

아래는 시즌별 유벤투스와 토리노의 평균 관중 수이다.

시즌유벤투스 평균 관중토리노 평균 관중
1990–9143,11433,990
1991–9251,83235,364
1992–9345,86826,814
1993–9444,52026,130
1994–9547,86622,205
1995–9641,94620,284
1996–9739,27113,451
1997–9847,34719,505
1998–9947,16419,627
1999–200042,22921,857
2000–0141,27317,077
2001–0240,68719,002
2002–0339,77114,870
2003–0434,3659,831
2004–0526,42910,003
2005–0625,98724,995


3. 관중 수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개장 이후 좀처럼 매진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1994-95년 UEFA컵 당시 유벤투스는 준결승과 결승 홈 경기를 더 많은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밀라노산 시로에서 치르기도 했다. 경기장의 구조적 문제와 위치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제 평균 관중 수는 경기장 수용 능력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었으며, 이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12][13][14][5][6][7]

3. 1. 평균 관중 수

델레 알피의 구조는 관중석과 경기장 사이의 거리, 광고판 배치 등으로 인한 열악한 시야 문제와 경기장의 외곽 위치, 날씨 노출 등의 문제로 비판받았다.[12][5]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경기장의 평균 관중 수는 수용 인원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삼프도리아와의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홈 경기에서는 단 237명의 관중만이 입장하기도 했다.[14][7]

아래는 1990년 월드컵 이후 스타디오 델레 알피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 유벤투스토리노의 시즌별 평균 관중 수이다.[13][6]

시즌유벤투스 평균 관중토리노 평균 관중
1990–9143,11433,990
1991–9251,83235,364
1992–9345,86826,814
1993–9444,52026,130
1994–9547,86622,205
1995–9641,94620,284
1996–9739,27113,451
1997–9847,34719,505
1998–9947,16419,627
1999–200042,22921,857
2000–0141,27317,077
2001–0240,68719,002
2002–0339,77114,870
2003–0434,3659,831
2004–0526,42910,003
2005–0625,98724,995


3. 2. 최고 관중 기록

스타디오 델레 알피의 역대 최고 관중 기록은 2003년 5월 14일에 열린 유벤투스레알 마드리드 간의 2002-03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2차전에서 기록된 63,583명이다.

1990년 FIFA 월드컵 당시에도 이 경기장에서는 많은 관중이 모인 경기가 열렸다. 아르헨티나브라질의 16강전, 서독잉글랜드의 준결승전은 각각 약 60,000명의 관중을 동원했다.

4. 재개발 (유벤투스 스타디움 건설)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육상 트랙으로 인한 시야 방해, 교통 불편, 잔디 관리 문제 등 여러 단점으로 인해 유벤투스와 팬들로부터 꾸준히 비판받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벤투스는 2002년 6월, 토리노 시로부터 경기장을 2500만유로에 매입하여[8] 자체적인 재개발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기존의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2009년 2월 완전히 철거되었고, 같은 해 봄부터 그 자리에 새로운 축구 전용 경기장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약 1억유로의 비용이 투입된 이 프로젝트는 2006년 칼초 스캔들의 여파로 잠시 지연되기도 했으나, 2011년 9월 8일 유벤투스 스타디움(현재 알리안츠 스타디움)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개장하며 마무리되었다.

새롭게 지어진 경기장은 약 41,500석 규모이며,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육상 트랙을 없애 관중석과 그라운드 사이의 거리를 좁혀 시야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관중석 전체를 덮는 지붕이 설치되었고, 경기장 주변 약 50000m2 부지에는 식당, 호텔, 유벤투스 전용 훈련 센터 등 다양한 부대 시설이 함께 들어섰다. 유벤투스는 신 구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과거 홈구장이었던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를 임시로 사용했다.

4. 1. 추진 배경

스타디오 델레 알피는 본래 축구뿐 아니라 육상 경기도 치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축구장 주변에 육상 트랙이 있었다. 하지만 연습용 트랙 부족 등의 문제로 실제 주요 육상 대회는 거의 열리지 않았다. 세계적인 명문 클럽인 유벤투스의 홈구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관중석이 가득 차는 경우는 드물었고, 평일 경기나 코파 이탈리아 경기 등에서는 관중석이 텅 비는 경우도 잦았다.

델레 알피의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유벤투스는 1994년부터 구단 전용 경기장 건설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1994-95 시즌 UEFA컵 준결승과 결승 홈 경기를 만원 관중 수용이 가능한 밀라노산 시로에서 치르기도 했다. 임차료 문제로 토리노 시의회와 마찰을 빚기도 했던 유벤투스는 결국 2002년 6월, 2500만유로에 델레 알피를 시의회로부터 매입했다.[8]

2000년에 토리노 시와의 오랜 협상 끝에 유벤투스는 델레 알피 부지에 대한 99년간의 소유권을 확보했다. 유지 및 개조 비용을 유벤투스가 전액 부담하는 대신, 경기장 및 주변 부지(약 30000m2 이상)를 자유롭게 이용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벤투스는 기존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약 4만 1천 석 규모의 축구 전용 경기장을 새로 짓기로 결정했다. 새 경기장은 육상 트랙을 없애 관중 시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신구장 건설 계획은 2004년 1월에 구체화되었고, 2005년 6월 공사 시작 예정이었으나, 2006년 발생한 칼초 스캔들로 인해 유벤투스의 자금 사정이 악화되면서 계획이 잠시 중단되었다. UEFA 유로 2012 유치 실패로 정부 지원금 확보도 어려워졌으나, 2008-09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확보하면서 자금 마련에 숨통이 트였다. 결국 유벤투스는 2008년 3월 18일, 약 1억유로를 투자하여 기존 경기장을 철거하고 신구장을 건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유벤투스는 신구장이 완공될 때까지 이전 홈구장이었던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를 임시로 사용했다.

4. 2. 건설 과정

유벤투스는 경기장 소유주인 토리노 시와의 오랜 협상 끝에 2000년 협의를 마치고, 스타디오 델레 알피의 99년 소유권(등기상)을 확보했다. 여기에는 경기장 주변 약 30000m2 이상의 토지도 포함되었다. 유벤투스는 유지비 및 개조 비용 전액을 부담하는 대신, 경기장 활용 및 수익 창출 권한을 얻었다.[8] 이에 따라 유벤투스는 스타디오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새로운 축구 전용 경기장 건설 계획을 세웠다.

2004년 1월 프로젝트 세부 내용이 발표되었고, 다음 해 6월 공사 시작 예정이었다. 당시 계획은 약 7만 1천 명 수용 규모를 약 4만 1천 명으로 줄여 시야를 개선하는 것이었으며, 추후 증축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그러나 2006년 칼초폴리 스캔들로 인한 유벤투스의 재정 악화와 UEFA 유로 2012 유치 실패에 따른 정부 지원 무산으로 계획은 지연되었다.

유벤투스가 2008-09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확보하면서 경기장 신축 계획은 다시 추진력을 얻었다. 2008년 3월 18일, 유벤투스는 약 1억유로를 투입하여 기존 경기장을 철거하고 신축하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8] 철거 작업은 2009년 2월 완료되었고, 같은 해 봄에 신축 공사가 시작되었다.

신축 경기장은 약 50000m2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41,475석 규모를 갖추었다. 기존 경기장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육상 트랙이 제거되어 관중석과 경기장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고, 시야가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관중석 전체를 덮는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었으며, 경기장 외부에는 식당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 시설이 들어섰다. 유벤투스 훈련 센터, 체육관, 식당, 호텔 등도 경기장 옆에 함께 건설되었다.

새 경기장은 2011-12 시즌 개막에 맞춰 2011년 9월 8일에 공식 개장했으며, 이후 유벤투스 스타디움(현 알리안츠 스타디움)으로 명명되었다. 신축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벤투스는 과거 홈구장이었던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를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4. 3. 칼초 스캔들과의 연관성

유벤투스는 스타디오 델레 알피를 철거하고 신 경기장을 건설할 계획을 세워 2004년 1월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2005년 6월 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2006년 여름에 발생한 칼초 스캔들로 인해 유벤투스의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신 경기장 건설 계획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위기를 맞았다. 또한 이탈리아가 UEFA 유로 2012 유치에 실패하면서 기대했던 정부의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유벤투스는 2008년 3월 18일, 약 1억유로를 투입하여 기존 경기장을 철거하고 신 경기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다시 발표했으며, 2011-12 시즌부터 새로운 경기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a Juventus Football Club S.p.A. e il Comune di Torino hanno firmato il protocollo d'intesa per lo stadio Delle Alpi http://www.juventus.[...] Juventus Football Club
[2] 웹사이트 The unfortunate legacy of Italia 1990 http://www.stadiumgu[...] 2017-06-07
[3] 웹사이트 Stadium http://www.juventus.[...]
[4] 뉴스 Torino handed ba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3-02-25
[5] 웹사이트 Juve plan to halve stadium capacity http://soccernet.esp[...]
[6] 웹사이트 Guide to Juventus http://news.bbc.co.u[...] 2006-03-27
[7] 뉴스 Guardian Article regarding Stadio delle Alpi March 2006 http://football.guar[...] Guardian Online
[8] 웹인용 La Juventus Football Club S.p.A. e il Comune di Torino hanno firmato il protocollo d'intesa per lo stadio Delle Alpi http://www.juventus.[...] Juventus Football Club
[9] 웹인용 The unfortunate legacy of Italia 1990 http://www.stadiumgu[...]
[10] 웹인용 Stadium http://www.juventus.[...]
[11] 뉴스 Torino handed ba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3-02-25
[12] 웹인용 Juve plan to halve stadium capacity http://soccernet.esp[...] 2023-04-04
[13] 웹인용 Guide to Juventus http://news.bbc.co.u[...] 2006-03-27
[14] 뉴스 Guardian Article regarding Stadio delle Alpi March 2006 http://football.guar[...] Guardian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